본문 바로가기

Data Structure3

IM 7일차 TIL ( graph, tree & Binary Search Tree) Graph 그래프는 정점(Vertex)와 각 정점을 연결하는 변(Edge)로 나누어 진다. 변은 해당 정점들을 연결하여 자료를 탐색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변에는 방향성이 있는 변이 있고, 방향성이 없는 변이 있다. 방향성이 있는 변을 가지는 그래프를 유향 그래프라고 하며, 정점에서 해당 변의 방향만을 따라서 연결된 정점으로 이동 가능하다. 방향성이 없는 변을 가지는 그래프는 무방향 그래프라고 하며, 연결된 정점들 끼리 왕래할 수 있다. 각 정점들을 서로 연결하여 순환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래프의 구조는 SN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통신망이나 친구관계등을 모델링할 수 있다. Tree 트리구조는 그래프의 자료구조에 속하지만 그래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그래프는 순환 구조를 가질 수.. 2020. 5. 7.
IM 6일차 초보개발자 TIL(Linked list & Hash table) DATA 구조에서 linked list 와 hash table에 대해서 배우는 날이었다, stack과 queue에 비해서는 조금 더 복잡한 형태의 DATA구조 였다. Linked list linked list(연결 리스트)는 각 노드(Node)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DATA구조이다. 데이터를 담고 있는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는데, 노드의 포인터가 다음이나 이전의 노드와의 연결을 담당하게 된다. 위 그림과 같이 노드는 자기자신을 가리키는 원소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구성되어 있다. 연속되는 노드들은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며, 마지막 항목은 Null을 가리킨다. 또한,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동안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으며, 메모리 공간을 낭.. 2020. 5. 5.
IM5일차 TIL (Stack & Queue) 오늘은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이었다. 이번 시간에 배운 것은 stack 과 queue 였다. stack은 LIFO: last in, first out 의 개념으로 정보가 위로 차곡차곡 쌓이며 쌓은 이후 가장 위에 쌓였던 정보가 우선적으로 나오는 형태이다. 접시를 쌓는 거나, 하노이의 탑의 구조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stack method가 존재 하며 해당 메소드는 다음과 같다. pop — Pulls (removes) the element out of the stack. The location is specified by the pointer push — Pushes (inserts) the element in the stack. The location is specified by the .. 2020.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