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개발자14 11일차 초보개발자 TIL 어느덧 자바스크립트를 본격적으로 배운지 10일이 넘었다. 아직까지 git, reduce함수 등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다. 이번에 testbuilder라는 과제를 진행하면서 새로운 것을 또 익히다 보니 점점 머리가 복잡해지는 느낌이었다. 테스트 주도 개발을 통해 test Framework에 관해서 배웠었다. test framework가 무엇인지, 유닛 테스트와 테스트 주도 개발의 차이는 무엇인지, Mocha와 Chai에서 사용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익히는 과정이었다. 사실 아직까지 Mocha와 Chai가 정확히 어떤 것인이 이해는 하지 못하였다. 그저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에 사용되는 툴로만 이해하였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테스트 주도 개발을 통해 개발과정에서의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큰틀을 짜주는 부.. 2020. 4. 6. 9일차 초보개발자 TIL Javascript koans 과제를 하면서 이제까지 배웠던 내용들을 복습하였다. 배열 객체 메소드 부분을 집중적으로 리마인드 하였고, 추가적으로 Scope의 정의와 let, var, const 의 사용 범위에 대해 배우고 Closure에 대해서도 익히면서 코드를 작성하는 데 있어서 패턴에 대해서도 익혔다. 문제를 풀면서 어떤 함수나 메소드가 작동할때 어떻게 결과값이 나오는지 계속 생각하면서 범위에 따르는 결과값의 차이를 이해하게 되었다. 조금은 뭔가 코딩이라는 전체적인 개념에 대해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2020. 4. 2. 8일차 초보개발자 개발자로써 가장 중요한 역량은 협업을 잘 하는 것이다. 개발자들이 협업을 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가 git과 github 이다. 오늘 새로운 마음으로 git 과 github의 사용법에 대해 익혔다. 기본적으로 git bash를 이용하여 github에서 오픈소스로 나와있는 코드를 fork하여 내가 작업하고자 하는 곳에 git clone 명령어로 옮겨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하여 수정한 후 다시 업로드 하는 것이다. 예전에 한번 해본적이 있어서 큰 걱정은 안했지만, 처음 하는 것보다 더 많이 헤메었다. 이전에 작업해서 commit 하고 push했던 내용이 있어서 레퍼지토리를 제거하고 새로 fork를 하여 실행하였다. 중간 중간 막히는 부분들이 많아 한참을 헤메었지만, 조금씩 github.. 2020. 4. 1. 7일차 초보개발자 TIL 오늘도 알고리즘에 관한 공부를 이어나갔다.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는 어느정도 되었으나 정작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막히는 부분이 많았다. 특히, 사소한 실수가 아직 많이 나왔으며, for 반복문을 사용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이해가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느꼈다. for반복문을 사용할때 변수 선언하는 위치나, 결과도출을 하는데 있어서 자주 막히게 되었다. 변수선언은 for반복문 안에서 할때와 밖에서 할때의 차이가 컸으며, 결과 도출 역시 return값을 어디서 받느냐에 따라 결과가 반복되고 안되고의 차이가 있었다. 2주차에 접어들면서 문제를 풀다보면 이전에 생각하지 못한 방법이 떠오르고 시도하여 성공하기도 하지만, 막힌 부분이 많이 생길수록 머리가 굳어가는 것만 같았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느끼며 기본기 .. 2020. 3. 31. 6일차 초보 개발자 어느덧 기본 개념인 배열과 객체를 지나 알고리즘의 영역에 들어왔다. 재귀함수로 표현되는 함수식으로 어떤 함수가 스스로 호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복문과 조건문의 특징을 이해해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것이 팩트리어(!)를 예로 들 수 있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코딩작업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그리고 코드 작성을 할때 유의사항이 몇가지 있었는데, 가장 많이 실수를 하는 부분이 탭을 이용하여 들여쓰기를 하는 것이었다. 탭을 이용하는 것 보다 스페이스바 두번을 누르면서 코드 작성을 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였다. 조금 더 보기편하고, 오류가 덜날 수 있는 코드 작성법을 몸에 익혀야 한다는 것을 느낀 하루였다. 마지막으로 TIL 이외에 자바스크립트에 관해 포스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지난 주에 .. 2020. 3. 30. 이전 1 2 다음